맨위로가기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은 24세 이하 또는 프로 3년차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국제 야구 대회로, 2023년 11월 일본 도쿄 돔에서 개최되었다. 일본,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호주 4개국이 참가했으며, 일본이 대한민국을 결승전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MVP는 일본의 마도와키 마코토가 수상했으며, 대회 베스트 9도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은 2017년 일본 도쿄 돔에서 열린 야구 대회로, 일본이 대한민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일본의 외자키 슈타가 MVP를 수상했다.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선수 명단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선수 명단은 대한민국, 일본, 중화 타이베이의 선수 명단을 담고 있으며, 각 팀은 코칭 스태프와 포지션별 선수 명단, 출신 구단 및 선수 정보를 포함하고, 대한민국은 선동열 감독, 일본은 이나바 아츠노리 감독, 중화 타이베이는 훙이중 감독이 이끌었다.
  • 2023년 야구 - 2023년 KBO 리그
    2023년 KBO 리그는 샐러리캡 신설, 2연전 폐지, 막대 풍선 반입 금지 등 규정 변경과 감독진 변화 속에서 LG 트윈스가 정규 시즌 1위 및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한 시즌이다.
  • 2023년 야구 -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2023년 3월에 일본, 대만, 미국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우승하고 오타니 쇼헤이가 MVP로 선정되었으며, 역대 WBC 최고 관중 수를 기록했다.
  • 2023년 일본 - 제2차 기시다 내각 (제2차 개조)
    2023년 9월 13일에 구성된 제2차 기시다 내각 (제2차 개조)는 기시다 후미오 총리대신이 이끄는 자유민주당과 공명당 연립 정권의 일본 내각으로, 경제 활성화, 사회 보장, 외교 안보 등 다양한 정책 목표를 추진하고 있으나, 정치자금 스캔들과 지진 대응 등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 2023년 일본 - 일본의 코로나19 범유행
    일본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1월 첫 확진 사례를 시작으로 다섯 차례 유행을 거쳐 우한형, 유럽형 변종이 확산되었고, 정부는 감염병 지정, 긴급사태 선언, 백신 접종 등의 정책으로 대응하며 2023년 5월 감염병 등급을 하향 조정하여 일상 회복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대회 개요
대회 이름카네크스트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23
영어 이름2023 Asia Professional Baseball Championship
다른 이름Asia Professional Baseball Championship 2023 presented by CARNEXT
우승한 일본 대표팀의 헹가래 모습 (2023년 11월 19일)
우승한 일본 대표팀의 헹가래 모습 (2023년 11월 19일)
개최국일본
개최 도시도쿄
대회 기간2023년 11월 16일 - 11월 19일
참가 팀 수4
경기장 수1
도시 수1
결과
우승 횟수2
메달 종류asia
최우수 선수가도와키 마코토
대회 통계
총 경기 수8
총 관중 수162,811
이전/다음 대회
이전 대회2017
다음 대회2027

2. 대회 규칙

'''참가 자격'''

24세 이하 또는 프로 3년차 이하의 선수만 참가할 수 있으며, 팀당 3명까지 와일드카드를 선발할 수 있다.

'''경기 규칙'''


  • 지명타자 제도를 채용한다.[3]
  •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WBSC) 국제 공인구를 사용한다.[3]
  • 도핑 검사 대상 경기이다.[3]
  • WBSC 공인 경기이다.[3]
  • 투구 수 제한은 없다.[3]
  • 9회 종료 시 동점일 경우, 10회부터 승부치기를 실시한다. 10회 공격은 무사 1, 2루 상황에서 이전 회에 이어지는 타순으로 시작하며, 이후 회에도 연속 타순을 적용한다.[3]
  • 12회는 예선 및 3위 결정전에 적용된다.[3]
  • 로스터는 26명으로 구성된다.[3]
  • * 24세 이하(1999년 1월 1일 이후 출생) 또는 입단 3년 이내의 선수로 구성되어야 한다.[3]
  • * 오버 에이지 쿼터는 29세 이하(1994년 1월 1일 이후 출생) 3명까지 허용된다.[3]
  • 콜드 게임은 7회 이후 10점 차 이상일 경우 예선 및 3위 결정전에 적용된다.[3]

2. 1. 참가 자격

24세 이하 또는 프로 3년차 이하의 선수만 참가할 수 있으며, 팀당 3명까지 와일드카드를 선발할 수 있다.

2. 2. 경기 규칙


  • 지명타자 제도를 채용한다.[3]
  •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WBSC) 국제 공인구를 사용한다.[3]
  • 도핑 검사 대상 경기이다.[3]
  • WBSC 공인 경기이다.[3]
  • 투구 수 제한은 없다.[3]
  • 9회 종료 시 동점일 경우, 10회부터 승부치기를 실시한다. 10회 공격은 무사 1, 2루 상황에서 이전 회에 이어지는 타순으로 시작하며, 이후 회에도 연속 타순을 적용한다.[3]
  • 12회는 예선 및 3위 결정전에 적용된다.[3]
  • 로스터는 26명으로 구성된다.[3]
  • * 24세 이하(1999년 1월 1일 이후 출생) 또는 입단 3년 이내의 선수로 구성되어야 한다.[3]
  • * 오버 에이지 쿼터는 29세 이하(1994년 1월 1일 이후 출생) 3명까지 허용된다.[3]
  • 콜드 게임은 7회 이후 10점 차 이상일 경우 예선 및 3위 결정전에 적용된다.[3]

3. 참가국 및 선수 명단

3. 1. 참가국

일본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호주
일본대한민국중화 타이베이호주



참가국・지역상세
일본상세
호주상세
중화 타이베이상세
대한민국상세


3. 2. 선수 명단


4. 경기 결과 (2023년)

모든 경기는 일본 시간 (UTC+9) 기준이다.

4. 1. 예선

4. 1. 1. 경기 결과 요약

2023년 11월 16일부터 11월 18일까지 도쿄 돔에서 6경기가 열렸다. 모든 경기는 일본 시간 (UTC+9) 기준이다.

  • 11월 16일

오스트레일리아2 - 3x 대한민국



{{Linescore

|width=170

|Road= 오스트레일리아

|RoadBC=

|RoadAbr=豪

|Home= '''대한민국'''

|HomeBC=

|HomeAbr=韓

|R1=1|R2=0|R3=0|R4=0|R5=0|R6=1|R7=0|R8=0|R9=0|R10=0|RR=2|RH=7|RE=3

|H1=0|H2=1|H3=0|H4=0|H5=0|H6=0|H7=0|H8=1|H9=0|H10=1x|HR=3|HH=8|HE=0

|RSP=쿠퍼바사라키즈 (2회), 윈 (2회 1/3), 홀랜드 (2회), ●맥그래스 (2회 2/3) - A.홀

|HSP=문동주 (5회 2/3), 김영규 (0회 2/3), 신민혁 (0회 0/3), 최지민 (0회 2/3), 최승용 (1회 2/3), ○정해영 (1회 1/3) ‐ 김형준

|WP=정해영 (1승)

|LP=맥그래스 (1패)

|SV=

|RoadHR=A.홀 1호 (6회 솔로·문동주)

|HomeHR=

|Date=11월 16일

|PU=야마지

|BU=왕 (1B), 하라 (2B), 장 (3B)

|Stadium=도쿄 돔

|Audience=3,348명

|Note1=(연장 10회는 타이브레이크 방식)

|Note2=시작: 12시 00분 경기 시간: 3시간 45분[5]

}}

은 6회에 문동주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5]


  • 11월 16일

일본4 - 0 중화 타이베이



{{Linescore

|width=170

|Road= '''일본'''

|RoadBC=

|RoadAbr=일

|Home= 중화 타이베이

|HomeBC=

|HomeAbr=대

|R1=0|R2=0|R3=0|R4=0|R5=0|R6=0|R7=1|R8=0|R9=3|RR=4|RH=10|RE=0

|H1=0|H2=0|H3=0|H4=0|H5=0|H6=0|H7=0|H8=0|H9=0|HR=0|HH=3|HE=0

|RSP=아카보시(4회 2/3)、오이카와(0회 1/3)、○네모토(2회)、키리시키(1회)、타구치(1회) - 사카쿠라

|HSP=●구린(6회 2/3)、왕즈쉬안(0회 1/3)、린 카이웨이(1회)、쩡 쥔위에(0회 2/3)、첸 보칭(0회 1/3) ‐ 다이 페이펑

|WP=네모토(1승)

|LP=구린 루이양(1패)

|SV=

|RoadHR=모리시타 1호(7회 솔로・구린 루이양)

|HomeHR=

|Date=11월 16일

|PU=라타

|BU=문동균(1B)、벤 내시(2B)、김정국(3B)

|Stadium=도쿄돔

|Audience=24,288명

|Note1=

|Note2=개시: 19시 03분 경기 시간: 3시간 15분[6]

}}

는 7회에 구린을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6]


  • 11월 17일

중화 타이베이6 - 0 오스트레일리아



{{Linescore

|width=170

|Road= '''중화 타이베이'''

|RoadBC=

|RoadAbr=대

|Home= 오스트레일리아

|HomeBC=

|HomeAbr=호

|R1=0|R2=0|R3=0|R4=0|R5=0|R6=0|R7=0|R8=0|R9=0|R10=6|RR=6|RH=9|RE=0

|H1=0|H2=0|H3=0|H4=0|H5=0|H6=0|H7=0|H8=0|H9=0|H10=0|HR=0|HH=2|HE=2

|RSP=천커이(7회)、린자오언(1회1/3)、○추쥔웨이(1회2/3) - 장사오훙、다이페이펑

|HSP=햄프턴(3회)、윈야드(1회)、비디(1회)、파슨스(1회2/3)、셰리프(1회1/3)、클라크(1회)、●맥그라스(0회2/3)、러버티(0회1/3) - A.홀

|WP=추쥔웨이(1승)

|LP=맥그라스(2패)

|SV=

|RoadHR=린징카이 1호(10회 만루・맥그라스)

|HomeHR=

|Date=11월 17일

|PU=문동균

|BU=하라(1B)、김정국(2B)、야마지(3B)

|Stadium=도쿄돔

|Audience=3,523명

|Note1=(연장 10회는 타이브레이크 방식)

|Note2=시작:12시 00분 경기 시간:3시간 11분[7]

}}

는 10회에 맥그래스를 상대로 만루 홈런을 기록했다.[7]


  • 11월 17일

대한민국1 - 2 일본



{{Linescore

|width=170

|Road= 대한민국

|RoadBC=

|RoadAbr=韓

|Home= '''일본'''

|HomeBC=

|HomeAbr=日

|R1=0|R2=0|R3=0|R4=0|R5=0|R6=0|R7=0|R8=0|R9=1|RR=1|RH=5|RE=0

|H1=0|H2=0|H3=1|H4=1|H5=0|H6=0|H7=0|H8=0|H9=x|HR=2|HH=9|HE=1

|RSP=●이의리 (6회), 오원석 (1회), 최준용 (1회) - 김형준, 손성빈

|HSP=○스미다 (7회), 요코야마 (1회), S타구치 (1회) - 사카쿠라

|WP=스미다 (1승)

|LP=이의리 (1패)

|SV=타구치 (1S)

|RoadHR=김휘집 1호 (9회 솔로・타구치)

|HomeHR=만파 1호 (4회 솔로・이의리)

|Date=11월 17일

|PU=왕준굉

|BU=나슈 (1B), 장전영 (2B), 랏타 (3B)

|Stadium=도쿄 돔

|Audience=35,223명

|Note1=

|Note2=시작: 19시 03분 경기 시간: 2시간 43분[8]

}}

는 4회에 이의리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8] 김휘집은 9회에 타구치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8]


  • 11월 18일

일본10 - 0 호주



{{Linescore

|width=170

|Road= '''일본'''

|RoadBC=

|RoadAbr=일

|Home= 호주

|HomeBC=

|HomeAbr=호

|R1=1|R2=0|R3=2|R4=1|R5=0|R6=1|R7=3|R8=2|RR=10|RH=13|RE=0

|H1=0|H2=0|H3=0|H4=0|H5=0|H6=0|H7=0|H8=0|HR=0|HH=1|HE=3

|RSP=○하야카와(5이닝)、요시무라(1⅔이닝)、사토 슌(⅓이닝)、시미즈(1이닝) - 코가、이시바시

|HSP=●부셸(2이닝)、K.홀(1⅓이닝)、라버티(1⅔이닝)、쿠퍼 바사라키스(2⅔이닝)、비디(⅓이닝) - 번스

|WP=하야카와(1승)

|LP=부셸(1패)

|SV=

|RoadHR=

|HomeHR=

|Date=11월 18일

|PU=김정국

|BU=장전룡(1B)、문동균(2B)、왕준굉(3B)

|Stadium=도쿄돔

|Audience=37,221명

|Note1=(규정에 의해 8회 콜드 게임)

|Note2=시작: 12시 03분 경기 시간: 3시간 06분[9]

}}


  • 11월 18일

중화 타이베이1 - 6 대한민국



{{Linescore

|width=170

|Road= 중화 타이베이

|RoadBC=

|RoadAbr=台

|Home= '''대한민국'''

|HomeBC=

|HomeAbr=韓

|R1=0|R2=0|R3=0|R4=1|R5=0|R6=0|R7=0|R8=0|R9=0|RR=1|RH=5|RE=2

|H1=1|H2=4|H3=0|H4=0|H5=1|H6=0|H7=0|H8=0|H9=0|HR=6|HH=10|HE=1

|RSP=●왕옌청(1회 1/3), 장궈하오(2회 2/3), 왕즈쉬안(1회), 리쯔창(2회), 쩡쥔위에(1회) - 다이페이펑, 장샤오훙

|HSP=○원태인(5회), 김영규(1회), 최승용(1회), 최지민(1회), 정해영(1회) - 김형준

|WP=원태인(1승)

|LP=왕옌청(1패)

|SV=

|RoadHR=류지훙 1호(4회 솔로·원태인)

|HomeHR=

|Date=11월 18일

|PU=원

|BU=랏타(1B), 야마지(2B), 내시(3B)

|Stadium=도쿄돔

|Audience=9,603명

|Note1=

|Note2=개시: 19시 01분 경기 시간: 3시간 29분[10]

}}

은 4회에 원태인을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10]

4. 1. 2. 대한민국 경기 상세

의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23년 11월 16일, 도쿄 돔에서 열린 (호주)와의 경기에서 3-2로 승리했다.

{{라인스코어

|원정팀 = |원정팀약자 = 호주

|1회초 = 1 |2회초 = 0 |3회초 = 0 |4회초 = 0 |5회초 = 0 |6회초 = 1 |7회초 = 0 |8회초 = 0 |9회초 = 0 |10회초 = 0 |원정팀득점 = 2 |원정팀안타 = 7 |원정팀에러 = 3

|홈팀 = ''''''|홈팀약자 = 대한민국

|1회말 = 0 |2회말 = 1 |3회말 = 0 |4회말 = 0 |5회말 = 0 |6회말 = 0 |7회말 = 0 |8회말 = 1 |9회말 = 0 |10회말 = 1 |홈팀득점 = 3 |홈팀안타 = 8 |홈팀에러 = 0

|승리투수 = 정해영 |패전투수 = 다니엘 맥그래스 |홀드투수 = |세이브투수 =

|원정팀홈런 = 알렉스 홀(문동주 상대로 6회 1점) |홈팀홈런 = |홈런없음 = }}
승리 투수: 정해영
패전 투수: 다니엘 맥그래스
홈런: 알렉스 홀(문동주 상대로 6회 1점)

  • 2023년 11월 17일, 도쿄 돔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8]

{{라인스코어

|원정팀 = |원정팀약자 = 대한민국

|1회초 = 0 |2회초 = 0 |3회초 = 0 |4회초 = 0 |5회초 = 0 |6회초 = 0 |7회초 = 0 |8회초 = 0 |9회초 = 1 |원정팀득점 = 1 |원정팀안타 = 5 |원정팀에러 = 0

|홈팀 = ''''''|홈팀약자 = 일본

|1회말 = 0 |2회말 = 0 |3회말 = 1 |4회말 = 1 |5회말 = 0 |6회말 = 0 |7회말 = 0 |8회말 = 0 |9회말 = X |홈팀득점 = 2 |홈팀안타 = 9 |홈팀에러 = 1

|승리투수 = 스미다 치히로 |패전투수 = 이의리 |홀드투수 = 요코야마 리쿠토 |세이브투수 = 타구치 카즈토

|원정팀홈런 = 김휘집(타구치 카즈토 상대로 9회 1점) |홈팀홈런 = 만나미 츄세이(이의리 상대로 4회 1점) |홈런없음 = }}
승리 투수: 스미다 치히로
패전 투수: 이의리
홀드 투수: 요코야마 리쿠토
세이브 투수: 타구치 카즈토
홈런: 김휘집(타구치 카즈토 상대로 9회 1점), 만나미 츄세이(이의리 상대로 4회 1점)

경기 시작 시간은 19시 03분이었고, 총 2시간 43분이 소요되었다. 관중 수는 35,223명이었다.[8]

  • 2023년 11월 18일, 도쿄 돔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의 경기에서 6-1로 승리했다.

{{라인스코어

|원정팀 = |원정팀약자 = 중화 타이베이

|1회초 = 0 |2회초 = 0 |3회초 = 0 |4회초 = 1 |5회초 = 0 |6회초 = 0 |7회초 = 0 |8회초 = 0 |9회초 = 0 |원정팀득점 = 1 |원정팀안타 = 5 |원정팀에러 = 2

|홈팀 = ''''''|홈팀약자 = 대한민국

|1회말 = 1 |2회말 = 4 |3회말 = 0 |4회말 = 0 |5회말 = 1 |6회말 = 0 |7회말 = 0 |8회말 = 0 |9회말 = X |홈팀득점 = 6 |홈팀안타 = 10 |홈팀에러 = 1

|승리투수 = 원태인 |패전투수 = 왕옌청 |홀드투수 = |세이브투수 =

|원정팀홈런 = 류지훙(원태인 상대로 4회 1점) |홈팀홈런 = |홈런없음 = }}
승리 투수: 원태인
패전 투수: 왕옌청
홈런: 류지훙(원태인 상대로 4회 1점)

대한민국은 결승전에서 일본에 패하여 최종 2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대한민국1 - 2 일본


4. 2. 3위 결정전

2023년 11월 19일 도쿄 돔에서 열린 3위 결정전 경기에서 중화 타이베이가 호주를 4:3으로 꺾었다.[11] 중화 타이베이는 3회말 3점을 먼저 얻었으나, 호주가 4회초 1점, 7회초 2점을 얻으며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9회말 중화 타이베이가 1점을 추가하며 승리했다.[11]

34



승리 투수는 린자오언(1승),[11] 패전 투수는 코언 웨인(1패)이다.[11] 경기는 11시 3분에 시작하여 2시간 56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관중 수는 7,722명이었다.[11]

4. 3. 결승전

2023년 11월 19일 18시 9분 도쿄 돔에서 대한민국일본결승전 경기가 열렸다.[12] 경기는 3시간 5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연장 10회 타이브레이크 끝에 일본이 대한민국에 4-3으로 승리했다.[12]

{{Linescore

|width=170

|Road= 대한민국

|RoadBC=

|RoadAbr=韓

|Home= '''일본'''

|HomeBC=

|HomeAbr=日

|R1=0|R2=0|R3=2|R4=0|R5=0|R6=0|R7=0|R8=0|R9=0|R10=1|RR=3|RH=9|RE=0

|H1=0|H2=0|H3=0|H4=0|H5=1|H6=1|H7=0|H8=0|H9=0|H10=2x|HR=4|HH=8|HE=1

|RSP=곽빈(5이닝)、최승용(1이닝)、최준용(1⅓이닝)、최지민(1⅔이닝)、●정해영(⅔이닝) ‐ 김형준

|HSP=이마이(4이닝)、네모토(3이닝)、키리시키(1이닝)、타구치(1이닝)、○요시무라(1이닝) - 사카쿠라

|WP=요시무라(1승)

|LP=정해영(1승1패)

|SV=

|RoadHR=

|HomeHR=마키 1호(5회 솔로・곽빈)

|Date=11월 19일

|PU=장잔롱

|BU=내쉬(1B)、왕준훙(2B)、랏타(3B)

|Stadium=도쿄 돔

|Audience=41,883명

|Note1=(연장 10회는 타이브레이크 방식)

|Note2=개시:18시 09분 경기 시간:3시간 50분[12]

}}

마키 슈고는 5회말 곽빈을 상대로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12] 대한민국의 선발 투수 곽빈은 5이닝 동안 1실점을 기록했다.[12] 일본의 선발 투수 이마이는 4이닝 동안 무실점으로 호투했다.[12]

일본은 이번 대회에서 2회 연속, 통산 2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External media

|width=280px

|video1=[https://www.youtube.com/watch?v=08gMOL2ykac 일본 vs. 대한민국 (결승전 하이라이트) - 커넥스트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23-] - 일본야구기구 공식 채널

}}

5. 최종 순위 (2023년)

순위국가/지역득점실점
1일본40204
2대한민국22139
3중화 타이베이221113
4호주04523


6. 수상 (2023년)

최우수 선수(MVP)
마도와키 마코토요미우리 자이언츠
대회 베스트 9
투수스미다 치히로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포수알렉스 홀퍼스 히트
1루수노시환한화 이글스
2루수마도와키 마코토요미우리 자이언츠
3루수사토 테루아키한신 타이거스
유격수김주원NC 다이노스
외야수모리시타 쇼타한신 타이거스
만나미 츄세이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궈톈신웨이취안 드래곤스
지명 타자천제셴퉁이 라이온스

[13]

6. 1. 최우수 선수 (MVP)

카도와키 마코토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15타수 6안타 2타점으로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었다.[13]

6. 2. 대회 베스트 9

수비 위치선수소속 구단
최우수 선수(MVP)
style="background-color:#cccccc" | 카도와키 마코토 요미우리 자이언츠
대회 베스트 9
투수 스미다 치히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포수 알렉스 홀 퍼스 히트
1루수 노시환 한화 이글스
2루수 카도와키 마코토 요미우리 자이언츠
3루수 사토 테루아키 한신 타이거스
유격수 김주원 NC 다이노스
외야수 모리시타 쇼타 한신 타이거스
만나미 츄세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궈톈신 웨이취안 드래건스
지명 타자 천제셴 유니 세븐일레븐 라이언스

[13]

7. 중계

일본에서의 방송 및 중계 일정은 다음과 같다.[4]

7. 1. 대한민국 중계

7. 2. 일본 중계

일본에서의 방송·중계 일정은 다음과 같다.[4]

  • 예선의 일본 대 대한민국전, 오스트레일리아 대 일본전은 TV 아사히·ANN 계열(일부 크로스넷 방송국 제외)과 BS 아사히 (후 리레이)에서 방송한다.
  • 예선 중 일본이 출전하지 않는 경기는 J SPORTS1에서 방송한다.
  • 결승전은 TBS 텔레비전·JNN 계열과 BS-TBS (전 리레이)에서 방송한다. (일본 출전의 경우에 한함)
  • 예선의 일본전 전 경기, 3위 결정전, 결승전은 프라임 비디오에서 생중계한다.
  • 예선 중 일본이 출전하지 않는 경기는 J SPORTS 온디맨드에서 생중계한다.

참조

[1] 웹사이트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大会公式スポンサーおよび大会公式ロゴの決定について https://www.japan-ba[...] 2023-08-07
[2] 웹사이트 「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対戦カードの決定について https://www.japan-ba[...] 2023-08-07
[3] 웹사이트 KBO,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APBC) 2023 참가 https://www.koreabas[...] 2022-12-16
[4] 웹사이트 放送・配信予定 https://www.japan-ba[...] 2023-10-30
[5] 웹사이트 【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 韓国 vs オーストラリア https://npb.jp/score[...] 2023-11-17
[6] 웹사이트 【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 チャイニーズ・タイペイ vs 日本 https://npb.jp/score[...] 2023-11-16
[7] 웹사이트 【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 オーストラリア vs チャイニーズ・タイペイ https://npb.jp/score[...] 2023-11-17
[8] 웹사이트 【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 日本 vs 韓国 https://npb.jp/score[...] 2023-11-17
[9] 웹사이트 【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 オーストラリア vs 日本 https://npb.jp/score[...] 2023-11-18
[10] 웹사이트 【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 韓国 vs チャイニーズ・タイペイ https://npb.jp/score[...] 2023-11-18
[11] 웹사이트 【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 チャイニーズ・タイペイ vs オーストラリア https://npb.jp/score[...] 2023-11-19
[12] 웹사이트 【カーネクスト アジアプロ野球チャンピオンシップ2023】 日本 vs 韓国 https://npb.jp/score[...] 2023-11-19
[13] 뉴스 【アジアCS】ベストナインは連覇日本から5人!隅田、門脇、佐藤輝、森下、万波が輝く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3-11-20
[14] 네이버뉴스 최강팀 가리자…亞 프로야구 챔피언십 16일 개최 https://n.new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